고혈압클리닉

본문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고혈압의 종류 및 원인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일차성(원발성)고혈압
고혈압 환자의 약 95%는 원인 미상의 일차성 고혈압입니다. 고혈압 환자에서 고혈압의 가족력을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유전적 요인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혈압은 어느 한 가지 유전자이상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수 많은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고혈압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현재 진행 중에 있습니다. 지금까지 밝혀진 원인으로는 비만, 스트레스, 운동부족, 식염의 과잉섭취, 영양 불균형, 과다한 육체노동, 정신적인 흥부이나 긴장, 불안 등이 있습니다.

 이차성(속발성) 고혈압
고혈압 환자의 약 5~10%는 원인을 찾을 수 있는 이차성(속발성) 고혈압입니다. 이차성 고혈압의 요인으로는 만성 신장질환, 신장동맥 협착증과 같은 신장질환이나, 쿠싱증후군, 갈색세포증, 알도스테론증 등과 같은 내분비 질환 및 대동맥 교착증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특히 젊은 나이에 가족력이 없이 발생하는 고혈압, 약물치료에도 반응이 없는 경우 및 전해질 이상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차성 고혈압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이차성 고혈압은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완치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진단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혈압의 정의
혈압은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이완기 혈압(diastolic blood pressure)으로 구분하여 나타냅니다. 심장이 수축을 하게 되면 혈관 내 압력은 최고치에 달하게 되며 이 때의 압력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심장이 완전히 이완하였을 때 혈압은 최저치가 되며 이 때의 혈압을 이완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진단조건
혈압 측정 시에는 2회 측정하고 1주 이상의 간격으로 2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여 다음의 기준에 따라 진단하게 됩니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정상혈압

수축기<120mmHg 혹은 이완기<80mmHg

고혈압의 전단계

수축기 120~139mmHg 혹은 이완기 80~89mmHg

고혈압

고혈압1단계 : 수축기 140~159mmHg 혹은 이완기 90~99mmHg
수축기160 혹은 이완기≥100mmHg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고혈압의 증상 및 합병증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고혈압의 증상
고혈압은 아무런 증세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고혈압을 조기에 찾아내기 위해서는 혈압을 정기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많은 환자들이 두통이 있거나 현기증이 나고 가슴이 뀌는 증상이 있어야만 혈압이 높다고 생각하는데 이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실제로 고혈압 환자가 호소하는 후두통은 많은 경우에 혈압이 올라가서가 아니라 스트레스에 의해 후두근육이 긴장되어 나타나게 되며, 실제로 수축기 혈압이 200mmHg 이상 심하게 올라가더라도 아무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증상에 따라서 혈압이 높다 낮다 판단하는 것을 올바르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혈압으로 인하여 말초장기가 손상되면 이로 인하여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고혈압으로 인해 뇌출혈이 발생하면 심한 두통과 구토 증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의식을 잃고 사망하게 됩니다.
또한 혈압이 갑자기 심하게 올라가게 되면 뇌부종, 심부전증, 신부전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고혈압성 발증(hypertensive crisis)이라고 부르며 신속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곧 사망하게 됩니다. 이 외 고혈압은 심부전증, 관상동맥질환, 대동맥박리, 신장질환 등 각종 심혈관계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여러 가지 증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고혈압의 합병증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중풍(뇌출혈, 뇌경색)
고혈압 환자에서 가장 심각한 합병증은 뇌출혈이다. 혈압이 올라가게 되면 뇌혈관의 약한 부위가 터져서 출혈이 생기게 되며 심한 경우 사망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서구에서와 같이 중풍의 원인으로 뇌출혈(40%) 보다는 뇌혈관이 갑자기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60%)이 점차 많아지고 있습니다. 고혈압은 뇌경색의 원인인 동맥경화증의 주된 위험인자의 하나입니다. 중풍을 앓고 나면 대부분 환자에서 반신불수, 언어장애 이상 감각 등과 같은 심각한 후유증이 남게 되므로 예방이 최선입니다. 미국에서는 철저한 홍보를 통하여 고혈압을 치료한 결과 1950년대에 비해 오늘날 70% 이상 중풍의 발병율이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사망원인인 중풍을 줄이기 위해서는 고혈압의 치료가 얼마나 중요한 가를 알 수 있습니다.

 심부전증
심부전증은 심장이 펌프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처음에는 심장벽이 두꺼워지면서 높은 혈압을 이겨내며 심장의 펌프기능을 수행하나, 시간이 지나면서 심근의 힘이 약해져 펌프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심부전증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심장의 기능이 떨어져서 제대로 혈액을 대동맥으로 짜내지 못하게 되면 각 장기로의 혈액공급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어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게 되지요. 이러한 심부전증의 주된 원인 중 하나가 고혈압이며 고혈압을 철저하게 치료함으로써 심부전증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심근경색증, 협심증)
관상동맥질환이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관동맥에 동맥경화증이 발생하여 좁아지는 질환이다. 서서히 장기간에 걸쳐서 관동맥이 좁아지게 되면 운동 시에 흉통이 나타나는 협심증이 생깁니다. 그러나 갑자기 혈관이 막히게 되면 심근이 괴사하는 급성 심근경색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은 이러한 관상동맥질환의 주된 원인 인자 중 하나입니다.

 대동맥 박리, 대동맥류
고혈압 환자에서는 갑작스럽게 대동맥이 찢어지는 대동맥 박리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찍어지는 부위에 따라서 예후가 다르나 사망률이 매우 높은 질환입니다. 또한 대동맥의 약한 부위가 꽈리 모양으로 늘어나는 대동맥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일정한 이상의 크기로 커지게 되면 갑자기 파열되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대동맥질환 역시 고혈압을 잘 조절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만성 신질환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콩팥 기능이 서서히 나빠져서 만성신부전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콩팥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다시 혈압이 더 심해지는 악순환을 밟게 됩니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